-
이더넷 연결은 되었는데 인터넷이 안 돼요? 연결됐다고 나오는데 웹사이트가 안 열릴 때 해결법카테고리 없음 2025. 3. 27. 22:34728x90
“이더넷이 연결되었다고는 뜨는데, 네이버도 안 열리고 인터넷이 안 됩니다…”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? 인터넷 케이블을 연결했는데도 웹페이지가 안 열리는 현상은 의외로 자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. 오늘은 이더넷(유선 인터넷) 연결은 되어 있는데, 실제 인터넷 접속이 안 될 때 점검해볼 항목과 해결 방법을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해볼게요!
💡 이런 증상일 때 보세요
- 화면 오른쪽 아래 ‘이더넷 연결됨’ 또는 ‘네트워크 연결됨’ 표시
- 하지만 웹브라우저에서 네이버, 구글 등 접속이 안 됨
- “인터넷 없음” 혹은 “DNS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” 오류
- 와이파이는 꺼진 상태거나 안 잡힘
✅ 원인 정리: 연결은 OK, 통신은 NG
원인 설명 ❌ 유선 연결만 되어 있고 실제 통신 불가 IP 또는 DNS 설정 문제 ❌ 라우터나 공유기 문제 연결은 되어도 외부망 연결 실패 ❌ DNS 오류 도메인 주소 해석 실패 ❌ 와이파이와 이더넷 충돌 두 네트워크가 충돌하면서 인터넷 차단됨
🛠️ 해결 방법 단계별 안내
✅ 1. 이더넷 케이블 연결 상태 확인
- 케이블이 PC 본체와 공유기에 정확히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
- 공유기 포트에 불이 들어오고 있는지도 체크
- 케이블 또는 포트 불량이 있을 수 있으니 다른 케이블이나 포트로 바꿔보기
✅ 2. IP 주소 자동 받기 설정 확인
- 제어판 >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> 어댑터 설정 변경
- ‘이더넷’ 우클릭 > 속성 클릭
- '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 (TCP/IPv4)' 더블 클릭
- 아래처럼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:
☑ IP 주소 자동으로 받기 ☑ DNS 서버 주소 자동으로 받기
✔ 수동 IP 설정이 잘못되었을 경우 인터넷 연결은 되지만 실제 접속은 안 됩니다.
✅ 3. DNS 수동 설정 (임시 해결)
DNS 서버를 수동으로 바꿔주면 해결되는 경우도 많습니다.
❗ 위 ②단계 화면에서 아래처럼 설정해 보세요:
✔ 다음 DNS 서버 주소 사용 기본: 8.8.8.8 보조: 8.8.4.4
(구글 퍼블릭 DNS)
✅ 4. 와이파이 꺼보기
- 이더넷과 와이파이가 동시에 연결되어 있을 경우 충돌이 생길 수 있어요.
- 와이파이를 꺼 놓고 유선 연결만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접속 시도해보세요.
✅ 5. 공유기 재부팅 or 모뎀 리셋
- 공유기 또는 모뎀의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.
전원 OFF → 10초 후 ON으로 재부팅해보세요. - 기기 간 호환 문제도 리셋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🧪 네트워크 문제 진단 도구도 활용해보세요
윈도우의 기본 진단 기능:
- 시작 > 설정 > 네트워크 및 인터넷
- ‘문제 해결’ 또는 ‘네트워크 문제 해결’ 클릭
- 자동 점검 후 오류 수정 시도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. 이더넷 연결은 떴는데 왜 인터넷이 안 되는 거죠?
👉 네트워크 어댑터는 신호를 받고 있지만, IP 설정 오류나 공유기 문제로 외부와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Q. 공유기는 멀쩡한데요?
👉 공유기에서 나가는 선(인터넷 회선), DNS 설정, 내부 충돌 문제 등을 따로 확인해야 합니다.
Q. 와이파이는 되는데 유선만 안 돼요.
👉 이 경우는 이더넷 포트나 드라이버 문제일 수도 있어요. 드라이버 업데이트도 시도해보세요.
✅ 마무리 요약
확인 항목 조치 방법 이더넷 연결 표시 있음 인터넷은 실제 연결 안 됐을 수 있음 IP/DNS 설정 자동 수신 또는 구글 DNS 입력 와이파이 충돌 와이파이 OFF 후 유선만 유지 공유기 문제 재부팅 또는 포트 변경 테스트
이더넷 연결이 되었다고 해서 항상 인터넷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! 네트워크 설정과 장비 상태를 하나씩 점검해보면 대부분 해결됩니다. 여전히 안 되신다면 통신사 고객센터나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.
728x90